안녕하세요 @sonki999입니다
SCT에 포스팅 및 큐레이팅을 하면서 개인적으로 기존 스팀잇에서의 보팅 파워 소진과 SCT에서의 보팅 파워 언발란스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blockchainstudio님께서 만들어주신 STEEM SCOT Voting Power tool로 보팅파워를 조회해보니 스팀잇 보팅파워는 69%대, SCT의 보팅마나는 무려 97%이상으로 방치되는 보팅파워의 수준이 생각보다 너무나 크다는 결론이 나오네요
SCT 포스팅중 개인적으로 더 많은 큐레이팅을 하고 싶어도 스팀잇의 파워 고갈로 인해 보팅을 망설이거나 보팅 퍼센테지를 조절할 수 밖에 없었기에 SCT 전용 부계정을 생성하고 활동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더구나 SCT의 보상체계는 저자와 큐레이터에게 5:5 보상을 나누는 것이기에 큐레이팅용 계정을 만들고 이 계정으로 SCT Staking을 집중적으로 해서 기존 스팀잇 활동과는 별개로 최적의 큐레이팅 환경을 만들수 있을것 같습니다
본 아이디 @sonki999의 SCT는 기본소득 보상기준 정도만 남기고 Unstaking후 전량 부계정으로 옮기려고 합니다
새로만든 SCT용 계정은 @sonki999.sct로 하였습니다
팔로우 많이 해주시고 앞으로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부계정 생성방법
부계정 생성방법에 대해 새롭게 포스팅을 하는것보다는 기존에 알기쉽게 잘 정리를 해주신 @jaydih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누구나 쉽게 부계정을 만들수 있는것 같아 링크를 올립니다
좋은 포스팅을 올려주신 @jaydih님 감사드립니다
위 포스팅에서 1번 방법으로 계정을 생성했는데 계정생성시 잘 안됐던 부분은 claim이나 계정생성을 위한 비번을 Active Key를 넣어야 하는데 자꾸 프라이빗키를 넣으니 진행이 안됐던 부분이 있었으니 Active Key를 넣어야 한다는 사실을 참고하시면 어렵지 않게 계정을 만드실수 있을겁니다
주의사항은 신규 아이디 생성시 랜덤으로 발생하는 password는 신규계정의 프라이빗키가 되니 반드시 별도로 저장하고 진행하시길 당부드릴께요
단, 신규 계정의 경우 RC 제약으로 인해 여러가지 활동이 어려울 수 있으니 본계정에서 스팀파워를 임대해주는것도 필요한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1천 스팀파워를 임대 완료했습니다
SCT의 새로운 자아 @sonki999.sct로 더욱 왕성한 활동을 할 것을 약속드리며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휴일 오후 보내세요
p.s : 앗 새로운 아이디로 포스팅 하려고 했는데 본 계정으로 포스팅이 됐네요.. 삭제도 안되구요 ㅎㅎ
부계정 사용시엔 반드시 로그인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네요^^